본문 바로가기

5.18오월길 인권길 답사 - 열정코스 혼자 다녀오기

페이지 정보

등록일
2020-08-19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788

본문




유형별 5.18사적지 답사 :: 518오월길

인권길-열정코스 둘러보기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4631_7209.jpg
 

안녕하세요. 꽃비서에요:)

제40주년 518 을 맞이하여, 이번엔 518오월길 중에

제가 다녀온 열정코스를 소개할까 합니다.

518 사적지를 의미있게 코스로 짜서

직접 걸어서 다녀볼 수 있게 다양한 코스들이 있는데요.

저번에는 SNS 시민 홍보단과 함께

민중길-주먹밥 코스를 걸어보았고요.

이번엔 저 혼자 인권길 열정코스를 다녀와봤습니다.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341_5871.jpg
 

오원인권길 - 열정코스는

민주화를 위해 열정을 바친 오월투사들을 만나는

길이라는 의미가 있는데요. 총 거리는

5.9km 소요시간은 약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는 코스입니다.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355_4647.jpg


저는 이 코스에 추가로 505보안부대 옛터

까지 함께 다녀와봤어용!! 다녀온 코스는

위에 지도를 참고하시면 될 듯 합니다.

다양한 518오월길 코스가 궁금하시다면

네이버 검색창에 <518오월길>을

검색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374_5157.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374_4514.jpg
 

1.505보안부대 옛터


제일 먼저 다녀온 505보안부대 옛터

여기는 제가 작년에 근처에 있던 카페를

갔다가 우연히 발견하였는데요. 이 기회로

518 사적지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지 않았나 싶어요.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428_2852.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428_3555.jpg
 

사적지마다 이렇게 표지석이 놓여져있어

이곳이 어떠한 곳이였는지 지나가는 분들도

쉽게 관심을 가지고 볼 수 있었답니다.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446_1301.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446_0671.jpg
 

505보안부대 옛터는 5.18 그당지

전남 지역 군 정보부대였던 505 보안부대가

자리잡고 있엇던 곳이였는데요.

신군부는 이곳에 합동수사단을 설치하고

이 지역 민주인사와 학생운동 지도부 및 시민군

등을 체포해 지하 감옥에 감금하고 고문 수사를

자행한 곳이기도 하답니다. 또한 5.18민주화운동

진압작전의 실질적인 지휘본부 이기도 했고요.




본관은 지상 2층, 지하 1층 건물로 지어졌으며

현재는 2009년 발생한 화재로 식당 건물은

내려 앉고, 건물 창틀은 뜯기고 유리창은

산산조각이 난 상태이며 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라고 하는데, 작년에 방문하고 올해

방문했는데, 나무가 더 우거지고 아직

정비단계는 아닌 것 같더라고요~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474_7035.jpg
 

제40주년 기념으로 받은 뱃지와 함께

사진을 한 장 찍어봤어용.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493_1637.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493_0929.jpg
 

2. 5.18기념공원


그 다음 방문한 곳은 5.18기념공원이랍니다.

서구 8경에도 뽑힌 이곳은 5.18의 명예회복과

값진 교훈을 올바르게 계승 발전시키기

위하여 쌍촌동 옛 상무대 자리에

6만 2천평 규모로 조성한 공원이랍니다.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507_0757.jpg
 

5.18기념공원 부지 내에는 기념문화센터

오월루 및 광주학생교육문화 회관 등이 들어서

있으며 휴식공간인 잔디 운동장도 있답니다.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530_3477.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530_4204.jpg
 

광장에는 이렇게 광주인권상 수상자들의 사진이

전시되어 있고, 5.18현황주작과 추모 승화 공간이

조성되어 있어 숭고한 정신의 계승발전을

도모하고 있답니다.

저기에 보이는 어머니 인물상은

크고 영원한 사랑을 구원하는 형상을 표현한

인물상이며 뒤쪽 배경으로는 1980년 518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관련자 명단을 하나씩 새겨놓았더라고요.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548_9677.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548_9029.jpg
 

5.18기념공원을 뒤로하고 이번엔 광천터미널

맞은편에 있는 광천동성당과 시민아파트쪽을

향해 가보았답니다.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574_0161.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573_926.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573_8204.jpg
 

3. 광천동성당

및 광천시민아파트


사적지 제27호로 이곳은 들불열사들의

활동장소이기도 한 곳이랍니다.

이 곳 근처로 지나가는 일이 많았었는데

이곳에서 사적지가 있을거란 생각은 못했었는데요.

광천동성당은 길가에서 바로보였는데

시민아파트는 좁은 골목을 지나서 들어가니까

보이더라고용~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592_3923.jpg
 

가는길에 너무 예쁜 장미나무가 있어서

그 사진도 한 장찍어보았답니다.^^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615_352.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615_3051.jpg
 

광천시민아파트와 광천동 성당은 5월 18일

들불야학의 일곱열사

(윤상원, 박기순, 박용준, 박효선, 신영일, 김영철,

박관현 열사) 중 윤상원의 주도로 투사회보가

제작되었던 곳이었는데요. 들불 야학의 교실로

사용하였던 광천동 성당 옆에는 70호 규모의

3층 연립아파트 3동이 ㄷ자 형태로 자리를

잡고 있었답니다. 이곳이 바로 광천시민아파트에요!

이 곳에 김영철, 윤상원 등 들불열사들이

아파트와 들불야학당을 거점으로

지역주민운동과 야학 활동을 펼쳤다고 합니다.

투사회보는 5.18민주화운동 기간중 유일하게

진실한 언론 역할을 했던 회보라고 합니다.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644_2025.jpg
 

4. 무등경기장 정문


사적지 제18호로 지정된 곳, 현재 기아챔피언스필드가 있는 그자리 무등경기장 정문 쪽이랍니다.

예전에 무등경기장 매표하던 곳 그쪽으로

가면 518사적지 표지석을 볼 수가 있었는데요.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661_8871.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661_9358.jpg
 

정문쪽에 보면 소방서가 있거든요.

그 옆에 이렇게 사적지를 안내하는 표지석이

설치되어 있답니다.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683_0959.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683_0249.jpg
 

무등경기장 정문은 1980년 5월 20일

계엄군의 만행에 격분한 운전기사들이

모여 차량시위를 시작한 곳으로 운전기사들이

대형버스를 앞세워 경적을 울리고 전조등을

비추며 전남도청으로 향하였다고 합니다.

시내버스와 택시 등 100여대의 차량이

참가하였으며 실로 장엄하였다고 해요.

시민들에게 강한 연대의식과 항쟁에 대한

자신감을 불어 넣어준 계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 차량시위와 운전기사들의 민주

정신을 기리기 위해 5월 20일을

'민주기사의 날'로 정하여 기념하고 있습니다.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701_6418.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701_5585.jpg
 

무등경기장 정문을 자세히 보니 정문의

그 형태는 그대로 보존을 하고 있더라고요.

야구경기를 보러 오면서 이곳을 몇 번 지나쳤는데

정문을 이대로 보존했다는건 이번에 첨

알게된 사실에요. 관심을 갖기 시작하니 평소에

그냥 지나쳤던 것들을 볼 수 있었던 계기였답니다.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723_2398.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723_1731.jpg
 

5.전남대학교 정문


마지막으로 다녀온 곳은 전남대 정문이에요!

이곳은 5.18민주화운동의 불씨를 지핀 곳이기도

하답니다. 사적지 제 1호로 지정된 곳인데요.

그래서 그런지 표지석이 다른곳보다 훨~씬

크게 되어 있었던게 눈에 띄었습니다.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747_6095.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747_696.jpg

설치된지 좀 오래되서 그런지

사적지에 대한 설명이 이렇게 지워져서

흐릿하게 보이더라고요. 시에서 이 부분을

다시 관리해주셨으면 좋겠네요..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766_9726.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766_8992.jpg


1980년 5월 17일 자정 불법적인 비상계엄

전국 확대에 따라 전남대에 진주한 계엄군이

도서관 등에서 밤을 새워 공부하고 있던

학생들을 구타하고, 불법 구금하는 사건이

일어나게 되면서 항쟁의 불씨가 뿌려진 계기였답니다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780_1995.jpg
 

저도 전남대학교 근처에 살아서 이곳을

한번씩 지나치기도 하고, 산책하려고

오기도 했었는데요. 사적지 표지석은

이번에 처음 보게 된 것 같아요!!!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799_2227.jpg
74d361efae161821a418ab23cfa3141c_1597805799_1626.jpg
 

제40주년 518을 맞이하여 혼자서

오월 인권길 열정코스를 둘러보아서 더욱

뜻깊었던 시간이 아니였나 싶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하여 제40주년

518행사가 변경되고, 취소되서 아쉽지만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서 이렇게 518오월길을

걸어보는것도 좋은 것 같아서 추천드려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